펀드이름 뒤 알파벳 보면 ‘수수료’ 보인다펀드이름 뒤 알파벳 보면 ‘수수료’ 보인다

Posted at 2010. 3. 6. 01:52 | Posted in 금융상품 이야기/펀드

 펀드이름 뒤 알파벳 보면 '수수료' 보인다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클래스A는 선취, B는 후취형
E는 온라인으로만 가입 가능
단기 투자땐 선취없는 C 유리

 

최근 주식시장이 박스권에 머물면서 펀드 투자자들의 속도 타들어가고 있다. 수익률이 높다면 수수료를 비롯한 각종 비용은 무시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작은 비용에도 민감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펀드의 실제 수익률은 자산가격의 상승분에서 비용을 뺀 부분으로 결정되므로 횡보장에서는 펀드비용을 결정하는 구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 펀드비용은 ‘판매수수료+보수’

투자자들은 보통 수수료라고 뭉뚱그려 생각하지만 펀드비용은 판매수수료와 각종 보수(운용, 판매, 신탁보수)로 나뉜다. 판매수수료는 펀드에 가입하거나 환매할 때 판매사에 내는 비용, 보수는 펀드를 관리하는 대가로 매년 지불하는 돈이다.

먼저 같은 대상에 투자하는 펀드라도 ‘클래스’에 따라 비용이 다르다. 뒤에 A, B, C 등이 붙는 클래스는 투자자의 성향과 기호에 따라 나눈 맞춤형 메뉴판이라고 보면 된다. 클래스A는 펀드에 가입할 때 판매수수료를 떼는 선취형이고 클래스B는 펀드를 해지할 때 수수료를 내는 후취형이다. 클래스C는 판매수수료가 없는 대신 연간 보수가 높다. 이 밖에 선취, 후취 수수료가 모두 있는 클래스D, 온라인으로만 가입할 수 있고 보수가 낮은 클래스E도 있다. 국내에는 보통 클래스A와 클래스B, 클래스C-e(온라인 전용 클래스C형)가 주로 판매된다. 예를 들어 삼성투신운용의 ‘삼성스트라이크펀드’ 중에서 클래스A는 선취수수료 1%와 연 1.43%의 보수를, C클래스는 선취수수료 없이 연 2.11%의 보수를, C-e클래스는 연 1.97%의 보수를 받는다.

○ 장기투자에는 클래스A 유리

클래스에 따른 비용 차이는 1%를 넘지 않는다. 하지만 투자금액이 많거나 투자기간이 길어질수록 차이는 눈에 띄게 커질 수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과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클래스A, 클래스C, 클래스C-e별로 평균 비용을 고려하고 연 10%의 수익률을 가정한다면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클래스C-e의 수익률이 가장 높고 클래스C, 클래스A 순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투자기간이 3년이 되면 누적수익률은 24.78% 대 23.36%로 클래스A가 클래스C를 앞지르게 된다. 투자기간 3년 이상이면 클래스A가 상대적으로 보수가 저렴한 온라인 전용펀드 클래스C-e의 수익률도 넘어선다. 수익률 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확대된다.

투자기간이 3년 이하이면 온라인 전용펀드의 수익률이 가장 높지만 선택의 폭이 좁았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온라인 전용펀드 수는 651개, 설정액은 1조3000억 원에 불과하다. 또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가입과 환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뒤집어보면 그만큼 쉽게 환매 유혹에 빠질 수 있다는 얘기다. 장기투자의 이점을 누릴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1년 이하로 투자한다면 선취수수료가 없는 클래스C에, 2년 이상 장기 투자한다면 선취수수료는 있지만 연간 보수가 낮은 클래스A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판매사의 도움 없이 온라인에서 스스로 펀드를 선택할 수 있으면서 3년 미만으로 투자하려는 투자자는 클래스C-e를 고려해 보는것이 좋다.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펀드





//

돈이 떨어지는 사람과 돈이 붙는 사람돈이 떨어지는 사람과 돈이 붙는 사람

Posted at 2007. 6. 11. 09:06 | Posted in 머니IQ를 높이자!/전문가 칼럼

“자기야, 또 K은행에서 돈 찾았어  수수료 700원이 나갔네 ”
“응. 그게 날씨도 더운데 H은행까지 가려면 횡단보도 두 개나 건너야 되거든”
“자기는 우리가 작년에 이렇게 타행 CD기에서 돈을 찾아서 나간 수수료가 총 얼마인지 알아  무려 50,000원도 넘는다고. 그리고 내가 그렇게 인터넷뱅킹 좀 사용하라고 당부했건만. 시골에 어머님하고 도련님한테 꼭 은행에 가서 송금하더라  송금수수료가 얼마인지 보기나 했냐고“

알뜰하기로 소문난 결혼 3년차 K씨는 오늘도 금융거래를 하는 남편에게 잔소리를 하고야 만다. 잔소리의 이유는 눈치를 차리셨듯이 주거래은행의 CD기를 이용하지 않고 아무 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한 것과 함께 고정적으로 한 달에 한 두번씩 부모님과 동생에게 송금하는 송금수수료가 너무나 아까워서다.

실제 작년 K씨의 가계부를 살펴보면 타행CD기 인출 수수료로 나간 지출이 50,000여원을 넘었고 매달 타행송금(그것도 지방이니 타지수수료가 부담된다) 몇 건에 만원 남짓한 금액이 순수한 수수료로만 지출되는 것이다.

은행이 먹고 사는 방법은 간단하다. 고객들로부터 4%의 이자를 주고 빌린 돈을 6%의 이자로 기업들이나 돈이 필요한 개인들에게 빌려 주는 것이다. 이때 2%차이가 은행의 수입이 되는데(예대마진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인건비와 각종 영업점의 운영경비 등을 제하면 은행의 순수입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몇 년간 계속된 저금리와 인건비나 기타 운영비용의 증가로 이러한 은행고유의 수입으로는 수익창출이 어렵다는 판단에 최근에는 다양한 수수료의 수입도 은행수입의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즉 대출을 가진 고객들에게는 저렴한 이자로 대출상품을 판매해야하고 예·적금의 가입고객에게는 좀더 나은 이자율을 제공해야 한다는 영업의 이중성 때문에 은행들이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속에 최근에 은행들이 새로운 수수료의 신설이나 수수료의 인상을 발표하고 있어 개인고객들의 수수료절약 테크(Tech)가 필요한 시기라고 보여진다.

은행들이 인상하고 있는 수수료에는 자행·타행환 수수료, 현금자동인출기(CD/ATM) 이용 수수료, CD 공동망 이용 수수료, 계좌이체 수수료, 인터넷 뱅킹 및 폰뱅킹 수수료 등 각종 수수료이다.

이렇듯이 은행들이 수수료를 인상하고 신설하고 있는 시점에 가장 안타까운 고객은 바로 인터넷뱅킹도 이용안하고 주거래은행까지 횡단보도나 지하보도로 건너가기 귀찮아서 몇 백원의 수수료를 물어가면서 타행에서 돈을 인출하는 K씨의 남편 같은 고객들이 아닐까 싶다.

은행연합회의 홈페이지(www.kfb.or.kr)에 나와 있는 은행별 수수료 현황을 살펴보면 당행 이체로 50만원을 송금했을 경우 창구를 이용하면 건당 1,000원의 수수료가 부담되지만 인터넷뱅킹, 텔레뱅킹,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면 전 은행 모두 무료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타행이체로 50만원을 송금했을 경우 영업점 창구를 이용하면 1,500원에서 3,000원까지 수수료를 부담하며(하지만 2,000원 이상 3,000원이 대부분이다) 인터넷뱅킹이나 텔레뱅킹, 모바일 뱅킹의 경우에는 면제거나 500원정도의 수수료를 부담하면 된다.

그리고 은행조회서나 주식납입증명서등의 제 증명서의 발급에는 약 2,000원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며 통장, 증서 재발행수수료도 1,000원에서 2,000원의 수수료를 내야하기 때문에 통장의 분실도 이제는 조심 해야 할 때이다.

현재 300만원을 타행으로 송금시 영업점 창구 거래시에는 은행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3,000원에서 4,000원정도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인터넷뱅킹에 가입해서 인터넷뱅킹으로 송금시에는 송금금액에 상관없이 500원만 부담하면 된다.

만약에 다섯 번만 송금을 한다고 해도 일반 은행영업점에서 송금하는 것보다 무려 15,000원이상 수수료를 절약하는 것이다.

여기에 은행창구에서 번호표나 대기표를 끊고 기다리는 시간적 손해와 함께 현금이나 통장등을 들고 오고가면서의 분실의 위험까지 감안한다면 얼마나 편리하고 절약을 실천하는 금융거래인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다. 당장은 몇 백원에서 몇 천원하는 수수료지만 연중으로 고정적으로 지출한다면 나중에 무시 못 할 금액의 지출을 확인할 수가 있을 것이다.

이렇듯이 돈이 떨어지는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방식의 금융거래를 해야 할까 

당연히 인터넷뱅킹과 텔레뱅킹 등의 비창구 거래를 이용해야한다.

최근의 은행권의 수수료신설에 즈음하여 다시 한 번 금융 거래시 발생하는 수수료의 절약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앞으로의 금융거래습관을 다시 한 번 고려해보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돈이 붙기를 기다리는 사람보다는 돈이 붙이는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절약하는 것도 병행해서 나가는 것도 저금리시대의 하나의 좋은 습관이 아닐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