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재테크 교실 - 어릴 때부터 길들이는 경제습관어린이 재테크 교실 - 어릴 때부터 길들이는 경제습관
Posted at 2007. 6. 17. 22:56 | Posted in 머니IQ를 높이자!


아이에게 필요한 경제교육의 하나로 똑똑한 소비교육을 들 수 있다. 소비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의 하나는 ‘물건은 싸게 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현명한 태도를 가르치면서 시간과 돈의 관계를 가르치고, 나아가 기회비용의 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시킬 수 있다. 이런 단계를 밟아가 보자.

물건을 살 수 있는 곳은 많다. 그 중에서 가장 싼 곳을 찾아내려면 발품을 팔아야 한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것이다.
아이에게 발품을 파는 습관을 들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가 특별히 갖고 싶어하는 물건이 있을 때마다 그 기회를 잘 활용해 훈련을 시키면 된다. 아이가 원한다고 바로 사주지 말고, 아이에게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가격을 비교하게 한다. 가장 싼 곳을 찾아서 물건을 사는 훈련을 시키는 것이다.
실례로 딸아이가 보드게임을 사고 싶다고 했다. 집 근처에는 보드 게임을 판매하는 할인마트가 두 곳 있었다. 주로 이용하는 곳에서 가격을 보았더니 19000원이었다. 다른 곳과 가격을 비교한 뒤에 사기로 했다. 그 다음 주에 딸아이와 걸어서 또 다른 할인마트에 갔다. 그곳에서는 1950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500원 비싼 가격이었다. 딸아이에게 ‘이곳은 비싼데 어떻게 할까 다음 주에 다른 곳에 가서 살까, 아니면 지금 걸어갈까 ’ 딸아이는 ‘그러면 싼 데 가서 사자’고 했다. 딸아이와 나는 싸게 살 수 있는 곳까지 무려 40분이나 걸어갔다.
고작 500원을 아끼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을 낭비한 것 아닌가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선택이다. 하지만 배움에는 순서가 있다. 먼저 ‘물건은 싸게 사야 한다’는 원칙부터 익히는 것이 좋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라면 인터넷으로 물건을 사는 것이 싼 이유도 ‘돈과 시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 줄 수 있다. 당장 갖고 싶은 물건이지만 하루나 이틀 정도 기다린다면 조금 더 싸게 살 수 있다는 식의 설명이다.

성인이 되면 ‘돈과 시간’을 바꾸는 일을 무척 많이 하게 된다. 출퇴근 시간에 버스를 타지 않고 택시를 타는 것은 택시비와 시간을 바꾸는 일이다. 택시비로 만 원을 쓰는 대신 30분 정도 시간을 버는 것이다. 그 30분 동안 무엇을 했는지에 따라 만 원의 돈은 현명한 소비도 되고 불필요한 낭비가 되기도 한다. 30분 절약한 시간으로 책을 읽거나 운동을 했다면 현명한 소비일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게임 같은 것으로 적당히 보냈다면 불필요한 낭비일 수 있다.
‘시간이 아까워서’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시간이 아까워서 택시를 타고, 가까운 곳에서 비싼 돈을 주고 쇼핑을 했다고 말한다. 정말로 바쁜 사람에게는 이런 선택이 합리적일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시간이 아까워서’라는 말을 자신의 게으름에 대한 변명으로 사용한다. 어렸을 때부터 돈으로 산 시간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주어야 한다.
'머니IQ를 높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초짜들, 경제지식부터 익혀라! (0) | 2007.06.21 |
---|---|
직장인의 중요한 뒷주머니 - 퇴직금 재테크 (0) | 2007.06.18 |
준비하자, 골드세대 - 더 미룰수 없다, 50대를 위한 노후 준비 어드바이스 (0) | 2007.06.17 |
백전백승 투자의 법칙 - 해외펀드 투자에 앞서 고려해야 할 것들 (0) | 2007.06.17 |
나만의 재테크 기준을 만들어보세요 (0) | 2007.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