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 시장전망 & 월간 자산관리 전략 요약(2013.04.22)
자산관리 전략
-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금 비중을 축소하고, 위험자산인 주식에 대한 비중을 확대
- 국내 증시의 디커플링 요인이 축소되고, 점진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이 축적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주식 성장형 펀드 비중 확대
- 경기 부양 및 정책의 일관성으로 인해 경제성장율 전망/기업의 주당순이익(EPS) 상향이 예상되는 중국 및 일본 주식에 대한 투자 확대
- 미국의 정책이슈 및 유럽내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동성 관리를 위해 ELS 및 해외채권(하이일드)에 대한 병행투자 필요
국내주식
- 긍정요인: 견조한 IT기업실적, 1900p선에서 보여지는 지지력
- 부정요인: GS건설 실적 부진이 산업 재전반으로 전이, 미금융기업 실적 부진이 국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매도 지속
- 주요변수: 다음 주는 미국과 한국 어닝 결과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
G20 정상회담 결과
- 주간전망: 미국과 한국의 어닝 결과에 따라 업종별 차별화 심화될 것으로 전망
G20 결과가 엔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주목할 필요
코스피는 1890p에서 하방경직성 기대
해외주식
- 미국: 기업실적 발표에 따른 변동성 장세 예상
- 예상 경제지표: 3월 내구재 주문(5.7%), 3월 신규주택매매(411K), 1QGDP(0.4%)
- 유럽: 이탈리아 대통령 선출 무산되면 정국 불안, 기업실적 발표 등으로 변동성 확대
- 예상 경제지표: 소비자신뢰지수, PMI제조업(46.7)
- 일본: 경기회복에 대한 시장의 신뢰 속에 1분기 기업실적 개선 여부에 관심 이전
- 예상 경제지표: 도쿄소비자물가지수(전년대비, -0.4%), 정책금리 결정
- 중국: 기업 실적 호조, 저가 매수 유입되며 반등, 경제지표 둔화되며 소비부양책 기대 확대
- 예상 경제지표: HSBC PMI(51.4)
- 브라질: 소매 판매, 수출 감소등 경기둔화 지속이 우려되나 저가매수 유입 기대
- 예상 경제지표: 3월 경상수지, 주간 무역수지, 총대출
채권
- 이번 주 국고 3년은 2.59%~2.66% 수준에서 등락. 전주 금요일 종가 대비 5bp 하락한 2.62%로 마감.
예상 수준의 추경 규모 발표로 영향 제한적이었으며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대기매수 유입으로 기술적 반락.
다음 주 국고3년 금리는 2.57%~2.65% 예상. 풍부한 채권 수요가 금리 상승 제한.
국내 1Q GDP 발표가 한은의 전망치 하회할 경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재부각될 전망.
원자재
- 유가: 드라이빙 시즌의 계절적 수요 회복 기대가 있으나 주요국의 경제지표 부진,
원유 재고 증가 등은 단기 급락에 따른 반등 폭을 제한할 전망
- 골드: 인도의 경우 5월 결혼 시즌에 돌입하는 등 중국, 인도의 실수요 기대는 당분간 반등을 지지할 전망이나
장기간에 걸쳐 금 가격 하락 기조 전망 우세
- 구리: 중국 1분기 GDP 성장률이 기대치를 하회하는 등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며 2010년 7월 이후
최저치 기록. 지지부진한 가격 흐름 예상.
- 농산물: 타 원자재와는 다르게 주간 단위 상승. 미 옥수수의 파종 지연 소식은 곡물가격 지지
Source: 하나대투증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