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경제적 파장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경제적 파장

Posted at 2011. 6. 28. 13:59 | Posted in 구글링


오늘 아침 출근길에 직장인의 82%가 노후준비에 불만족스럽고 그 원인이 저축부족 탓이라는 기사를 읽고 며칠 전 읽었던 '가계저축률 하락의 원인과 경제적 파장'이라는 SERI보고서가 생각이 나 포스팅을 합니다.

손가락을 눌러주시는 센스~!

 


한국의 가계저축률에 대한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 입니다.
2010년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2.8%, OECD 평균 7.1%에 비해서 2/5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나열했습니다.

1. 근로소득 중심의 가계소득 증가세 둔화
2. 공적연금 확대에 따른 사회부담금 증가
3.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저축여력 감소
4. 고령화 진전 등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가계저축률 하락

1%의 가계저축률 하락은 경제성장률을 최대 0.15% 둔화시키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가계저축률의 하락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보고서입니다.

가계저축률의 추가적인 급락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가계부채의 관리 강화, 사회부담금 운영의 건전성과 효율성 제고, 저소득 계층의 소득안정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네요.

추가적으로 어제 나온 따끈따끈한 보고서 '가계 저축행태 및 자산구성 조사'를 보면 조사대상 가구 중 22.7%가 현재 저축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계층별로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저축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히 소득 1분위의 경우 저축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이 과반수에 육박하는 46.8%를 기록하였습니다.
전체 조사대상 가구 중 49.6%가 현재 가계소득에서 저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다고 평가하였으며 가게저축률 수준이 적다고 응답한 가구 중 43.3%는 저축이 부족하기 때문에 향후 노후생활의 자금 부족을 가장 크게 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계가 선호하는 저축상품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 가구의 54.1%가 은행 예·적금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소득계층별로는 모든 소득계층에서 은행 예·적금을 선호했으나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가계일수록 선호도가 높았고, 연금 등 저축성 보험상품과 적립식 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은 가계의 선호도가 대체로 상승하였습니다.
연령별로도 모든 연령계층에서 은행 예·적금을 선호하였으나 상대적으로 20대와 50세 이상의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은행 예·적금을 제외하면 연금 등 저축성 보험상품은 30~40대, 적립식 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의 선호도는 40대, 보장성 보험상품은 30대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가계의 자산구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가구의 42.8%가 전체 자산 대비 부동산 비중이 80%를 상회한다고 응답하여 가계의 자산구성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음을 반영하였습니다. 향후 가계의 자산구성을 조정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33.2%를 기록했는데, 금융자산과 부동산 확대로 자산구성을 조정하겠다는 응답률이 각각 23.6%와 9.6%를 기록하였습니다. 소득계층별로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향후 가계의 자산구성을 조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응답률이 상승하였습니다.

참고하실분은 다운받으셔도 됩니다.
다만 무단도용은 금물!! 저작권은 삼성 경제연구소에 있습니다.

//